[0x00] Concept
지금까지 IRP와 I/O 메커니즘, 이를 사용하기 위한 MS의 IOCTL CODE 정의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.
실제로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과 커널 드라이버 간의 통신 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예제 챕터입니다.
먼저 Input 과 Output 의 개념은 드라이버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을 미리 말씀드립니다.
즉 Input Buffer 는 드라이버에서 입력되는 버퍼, Output Buffer 는 드라이버에서 입력해서 출력되는 버퍼를 의미합니다.
반대로 유저모드에서는 Input Buffer 는 입력해서 드라이버로 전달하는 버퍼, Output Buffer는 드라이버에서 입력을 받아 유저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버퍼를 의미합니다.
※ 일반적으로 디스패치 루틴은 PASSIVE_LEVEL 에서 동작합니다. 예외의 경우 여기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[0x01] I/O Method
Driver Stack
개념에서 주요 책임 중 하나가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입니다. 운영 체제는 데이터 버퍼에 접근하기 위해 3 가지 방법 전략을 사용합니다.
- Buffered I/O
- 운영체제에서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버퍼와 동일한 크기의
Non-Paged System Buffer
를 할당합니다.Write
작업 시 I/O Manager 는 드라이버 스택을 호출하기 전에 유저모드의 데이터를 할당 된 시스템 버퍼에 복사합니다.Read
작업의 경우 요청 된 작업을 완료한 후에 할당 된 시스템 버퍼의 데이터를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 버퍼로 복사합니다.
- 운영체제에서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버퍼와 동일한 크기의
- Direct I/O
- 운영체제가 메모리 내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를 잠급니다. 잠긴 메모리 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
MDL
을 생성하고 해당MDL
을 드라이버에 전달합니다. 드라이버 또한 해당MDL
을 통해 메모리 페이지에 접근합니다.
- 운영체제가 메모리 내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를 잠급니다. 잠긴 메모리 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는
- Neither I/O
- 운영체제가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가상 주소와 해당 크기를 드라이버에 전달합니다. 해당 버퍼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스레드 컨텍스트에서 실행되는 드라이버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.
[0x02] Buffered I/O
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에서 METHOD_BUFFERED
(입,출력 버퍼), METHOD_IN(OUT)_DIRECT
(입력버퍼)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Buffered I/O 방식을 사용하게 됩니다.
일반적으로 IRP_MJ_DEVICE_CONTROL
으로 요청된 경우에는 Direct I/O
방식일지라도 입력버퍼의 경우 Buffered I/O 방식으로 처리되게 됩니다.
이러한 플래그를 확인하여 커널 드라이버에서 허용되지 않은 I/O 방식에 대해 제한을 둘 수도 있습니다.
Device object
의 플래그 설정 내 DO_BUFFERED_IO
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, 이를 기반으로 제어가 가능합니다.
MSDN
내 설명된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.
아래는 위의 순서와 관계없는 요약입니다.
-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이
DeviceIoControl
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(IRP_MJ_DEVICE_CONTROL
) - I/O Manager는 사용자 버퍼를 확인하고
ExAllocatePool
을 이용하여 사용자 버퍼와 동일한 크기의Non-Paged Pool
에SystemBuffer
를 할당 - I/O Manager 는
IRP
내SystemBuffer
에 할당된 포인터를 저장하고 시스템 버퍼로 유저모드 버퍼의 데이터를 복사합니다. - 드라이버로 전송하고 드라이버는 작업을 진행 및 완료 후
IoCompleteRequest
로 완료되었음을 알립니다. - I/O Manager는 시스템 버퍼에서 유저모드 버퍼로 값을 복사하고
ExFreePool
을 이용하여 사용한 시스템 버퍼를 해제합니다.
과정은 매우 간단하며, 요약하면 유저모드의 데이터를 커널모드의 Non-paged pool
에 복사하여 사용하고 이를 다시 유저모드 버퍼에 복사해주는 방식입니다.
[0x03] Direct I/O
Direct I/O
방식의 경우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. DMA(Direct Memory Access)
방식과 PIO(Programmed I/O)
방식입니다. 다만 IRP_MJ_DEVICE_CONTROL
작업의 경우 이와 관계없이 입력 버퍼는 Buffered I/O
방식을 따르게 됩니다.
METHOD_IN(OUT)_DIRECT
방식으로 전달 시, 출력 버퍼는 MDL(Memory Descriptor List)
를 이용합니다. 아래 예제에서 상세하게 설명됩니다.
위의 그림은 MSDN
에 존재하는 예제로써 IRP_MJ_READ
작업에 대한 예제입니다. IRP_MJ_DEVICE_CONTROL
에 맞게 설명합니다.
- 유저모드 애플리케이션이
DeviceIoControl
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(IRP_MJ_DEVICE_CONTROL
) - I/O Manager 는 유저모드 가상 주소로
MDL
을 생성하고,MmProbeAndLockPages
함수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고정합니다.(본 블로그 내Memory Descriptor List
참조) - I/O Manager 는
IRP
내MdlAddress
에 해당MDL
주소 값을 저장합니다. MmGetMdlVirtualAddress
함수에 해당MDL
주소 값을 넘겨 할당 된 가상 주소 값을 반환 받습니다.- 나머지 작업을 처리합니다.
[0x04] Proof of Concept
METHOD_BUFFERED
샘플 코드에서 존재하는 코드 블럭입니다.
// User-mode Application
...
case DeviceIoControl_SystemBuffer:
{
unsigned int inBuffer = 0x1337;
unsigned int outBuffer = 0;
DeviceIoControl(
DeviceHandle,
IOCTL_SHD_SYSTEM_BUFFER,
&inBuffer,
sizeof(unsigned int),
&outBuffer,
sizeof(unsigned int),
&ret,
nullptr
);
printf("0x%X\\n", outBuffer);
break;
}
...
IOCTL_SHD_SYSTEM_BUFFER
를 IOCTL_CODE
로 전달하고 있으며, CTL_CODE
매크로 함수를 이용하여 만든 제어 코드입니다. 해당 코드에는 METHOD_BUFFERED
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다음은 커널 드라이버 코드입니다.
// Kernel-mode Driver
...
NTSTATUS DriverDeviceControl(IN OUT PDEVICE_OBJECT DeviceObject, IN OUT PIRP Irp)
{
PIO_STACK_LOCATION IoStackLocation = NULL;
IoStackLocation = IoGetCurrentIrpStackLocation(Irp);
Log("Stack Location : %p\\n", IoStackLocation);
__debugbreak();
// Filter I/O Method
ULONG ControlCode = 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IoControlCode;
ULONG MethodType = ControlCode & 0xFF;
switch (MethodType)
{
case METHOD_BUFFERED:
{
if ((ShGlobal.DeviceObject->Flags & DO_BUFFERED_IO) == FALSE)
{
Log("Not allowed Buffered I/O Method\\n"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ACCESS_DENIED, 0);
return STATUS_ACCESS_DENIED;
}
ULONG* RecvBuffer = (ULONG*)Irp->AssociatedIrp.SystemBuffer;
Log("Recv : 0x%X\\n", *RecvBuffer);
ULONG BufferSize = 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InputBufferLength;
ULONG Buffer = 0xdeadbeef;
RtlCopyMemory(Irp->AssociatedIrp.SystemBuffer, &Buffer, BufferSize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SUCCESS, BufferSize);
return STATUS_SUCCESS;
}
...
위의 내용을 확인하면 Device Object
에 DO_BUFFERED_IO
플래그가 존재하지 않으면 별 다른 작업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IRP
개념에서 설명했던 내용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IoGetCurrentIrpStackLocation
을 이용하여 현재 스택 로케이션(IO_STACK_LOCATION
)을 가져오고 해당 내용에서 제어 코드를 확인하고, 이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간단히 위의 코드를 설명하면, 스택 로케이션 내 제어 코드가 METHOD_BUFFERED
인지 확인합니다.
그리고, Device Object
내 Flags
에서 DO_BUFFERED_IO
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가능한 경우 시스템 버퍼 내 값을 0xdeadbeef
로 변경하여 작업을 완료합니다.
스택 로케이션을 가져온 다음부터 디버깅을 진행해보겠습니다.
; Check Stack Location
3: kd> dt nt!_IO_STACK_LOCATION FFFFB58BF9EE4AA0
+0x000 MajorFunction : 0xe ''
+0x001 MinorFunction : 0 ''
+0x002 Flags : 0x5 ''
+0x003 Control : 0 ''
+0x008 Parameters : <anonymous-tag>
+0x028 DeviceObject : 0xffffb58b`fdacfe00 _DEVICE_OBJECT
+0x030 FileObject : 0xffffb58b`ff8d95d0 _FILE_OBJECT
+0x038 CompletionRoutine : (null)
+0x040 Context : (null)
; Check IRP
3: kd> dt_IRP @rdi
ntdll!_IRP
+0x000 Type : 0n6
+0x002 Size : 0x118
+0x004 AllocationProcessorNumber : 3
+0x006 Reserved : 0
+0x008 MdlAddress : (null)
+0x010 Flags : 0x60070
+0x018 AssociatedIrp : <anonymous-tag>
...
+0x050 UserEvent : (null)
+0x058 Overlay : <anonymous-tag>
+0x068 CancelRoutine : (null)
+0x070 UserBuffer : 0x00000057`977ff9e0 Void
+0x078 Tail : <anonymous-tag>
스택 로케이션에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내용들이 존재합니다. MajorFunction
은 IRP_MJ_XXXX
를 의미하는 작업 유형을 나타냅니다.
가장 중요한 Parameters
필드는 MajorFunction, MinorFunction
에 따라 다른 공용체 입니다. 예제에서 IRP_MJ_DEVICE_CONTROL
의 경우 DeviceIoControl
구조체를 사용하게 됩니다.
다음은 IRP
입니다. MdlAddress
는 본 블로그 내 설명되어 있는 Memory Descriptor List
의 주소 값으로 Direct I/O
를 사용하고 IRP_MJ_READ, WRITE, DEVICE_CONTROL, INTERNAL_DEVICE_CONTROL
을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.
AssociatedIrp
의 경우 Buffered I/O
에서 반드시 필요한 SystemBuffer
를 포함한 공용체 입니다.
여기서 IRP
의 Flags
필드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 찾아봤지만 명확한 답변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. 왜냐하면 Flags
의 필드와 관련된 데이터에서 0x40000, 0x20000 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었습니다.
마지막으로 UserBuffer
의 경우 현재 유저모드의 가상 주소 값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해당 필드가 적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스택 로케이션의
MajorFunction
이IRP_MJ_DEVICE_CONTROL, INTERNAL_DEVICE_CONTROL
인 경우, IOCTL CODE
가METHOD_NEITHER
또는METHOD_BUFFERED
일 때,
위의 두 가지가 모두 충족되면 해당 필드는 유저모드의 가상 주소 값이 저장됩니다.
필드의 이름만 보고 해당 위치에 값을 쓰거나 변경해서는 안됩니다. 드라이버가 작업을 완료하면 I/O Manager는 SystemBuffer
의 내용을 UserBuffer
에 복사합니다.
실제로 UserBuffer
를 메모리에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3: kd> dp 00000057`977ff9e0
00000057`977ff9e0 00001337`00000000 00000000`00000000
00000057`977ff9f0 00000004`00000001 00000000`00000001
00000057`977ffa00 00000000`00000000 00000000`00000000
0x1337 은 유저모드의 InBuffer
에 할당한 값입니다. 조금 이상한 점은 00000057'977ff9e0
에 값이 있지 않고 4바이트 떨어진 00000057'977ff9e4
에 0x1337 이 존재합니다.
여기서 유저모드의 코드를 살펴보면 연속된 변수의 할당으로 인해 주소 값이 연속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...
case DeviceIoControl_SystemBuffer:
{
unsigned int inBuffer = 0x1337;
unsigned int outBuffer = 0;
...
때문에 InBuffer
와 OutBuffer
가 연속되는 것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. UserBuffer
에 할당된 유저모드 가상 주소는 DeviceIoControl
의 OutBuffer
주소 값입니다.
IoCompleteRequest
가 호출되고, UserBuffer
를 확인하면 커널 드라이버에서 의도한대로 0xdeadbeef 값이 복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: kd> dp 00000057`977ff9e0
00000057`977ff9e0 00001337`deadbeef 00000000`00000000
00000057`977ff9f0 00000004`00000001 00000000`00000001
00000057`977ffa00 00000000`00000000 00000000`00000000
추가적으로 확인해보고 싶은 점이 있었으며, 해당 내용은 추후에 다뤄보겠습니다.
해당 내용은 MSDN
에서는 UserBuffer
에 드라이버가 직접 값을 변경하면 안된다고 되어 있지만.. 만일 IoCompleteRequest
가 완료된 후에, 유저 모드 버퍼의 주소 값을 저장해두고 KeStackAttachProcess
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접근해 변경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.
추후에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METHOD_IN(OUT)_DIRECT
Direct I/O
를 의미하는 해당 방식 또한 입력 버퍼(User to Kernel)에 SystemBuffer
가 사용됩니다. METHOD_BUFFERED
와 다른 점은 출력 버퍼(Kernel to User)에 대한 정보가 MDL
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 입니다.
MSDN
에서는 IN,OUT
의 차이를 실행중인 스레드에서 해당 버퍼에 대한 접근 권한의 차이로 설명합니다. IN
의 경우 READ
, OUT
의 경우 WRITE
권한을 갖는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.
이제 실제로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먼저 해당 내용을 시작하기 앞서 본 블로그 내 Memory Descriptor List 글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.
해당 내용을 어느정도 숙지했다는 가정으로 진행합니다.
METHOD_BUFFERED
에서는 I/O 관리자가 할당한 SystemBuffer
에 데이터를 쓸 수 있었습니다.(Driver)
다행히 MDL
에 대한 선행 학습이 있었고 출력 버퍼를 찾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.
...
case METHOD_IN_DIRECT:
{
if ((ShGlobal.DeviceObject->Flags & DO_DIRECT_IO) == FALSE)
{
Log("Not allowed Direct I/O Method\\n"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ACCESS_DENIED, 0);
return STATUS_ACCESS_DENIED;
}
ULONG* RecvBuffer = (ULONG*)Irp->AssociatedIrp.SystemBuffer;
Log("Recv : 0x%X\\n", *RecvBuffer);
ULONG BufferSize = 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InputBufferLength;
ULONG Buffer = 0xdeadbeef;
ULONG* SendBuffer = (ULONG*)MmGetMdlVirtualAddress(Irp->MdlAddress);
RtlCopyMemory(SendBuffer, &Buffer, BufferSize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SUCCESS, BufferSize);
return STATUS_SUCCESS;
}
...
I/O Manager 는 출력 버퍼에 대한 유저모드 가상 메모리 공간에 대한 MDL
을 생성하고 이에 대한 포인터를 IRP
에 할당합니다. 코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METHOD_IN_DIRECT
방식 또한 입력 버퍼는 SystemBuffer
를 사용합니다.
실제로 디버깅을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3: kd> dt nt!_IRP @rdi
+0x000 Type : 0n6
+0x002 Size : 0x118
+0x004 AllocationProcessorNumber : 3
+0x006 Reserved : 0
+0x008 MdlAddress : 0xffffb58b`ff324a80 _MDL
+0x010 Flags : 0x60030
+0x018 AssociatedIrp : <anonymous-tag>
+0x020 ThreadListEntry : _LIST_ENTRY [ 0xffffb58b`fe717530 - 0xffffb58b`fe717530 ]
+0x030 IoStatus : _IO_STATUS_BLOCK
+0x040 RequestorMode : 1 ''
+0x041 PendingReturned : 0 ''
+0x042 StackCount : 1 ''
+0x043 CurrentLocation : 1 ''
+0x044 Cancel : 0 ''
+0x045 CancelIrql : 0 ''
+0x046 ApcEnvironment : 0 ''
+0x047 AllocationFlags : 0x6 ''
+0x048 UserIosb : 0x000000e7`0c58f6b0 _IO_STATUS_BLOCK
+0x050 UserEvent : (null)
+0x058 Overlay : <anonymous-tag>
+0x068 CancelRoutine : (null)
+0x070 UserBuffer : (null)
+0x078 Tail : <anonymous-tag>
METHOD_BUFFERED
와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METHOD_BUFFERED
방식에서는 출력 버퍼를 SystemBuffer
의 값을 UserBuffer
로 복사했기 때문에 UserBuffer
필드에 버퍼 주소가 저장되었지만, METHOD_IN(OUT)_DIRECT
의 경우 위와 같이 UserBuffer
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MdlAddress
필드에 값이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: kd> dt nt!_mdl 0xffffb58b`ff324a80
+0x000 Next : (null)
+0x008 Size : 0n56
+0x00a MdlFlags : 0n266
+0x00c AllocationProcessorNumber : 3
+0x00e Reserved : 0
+0x010 Process : 0xffffb58b`fef1f300 _EPROCESS
+0x018 MappedSystemVa : 0xffffb58c`004fd000 Void
+0x020 StartVa : 0x000000e7`0c58f000 Void
+0x028 ByteCount : 4
+0x02c ByteOffset : 0x760
; Output Buffer
3: kd> db 0xe70c58f000+0x760 l8
000000e7`0c58f760 00 00 00 00 37 13 00 00
이제 MDL
을 확인하면 위와 같이 출력 버퍼가 할당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유저모드에서 출력 버퍼 주소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LOG] DeviceIoControl_MDL
[LOG] Output Buffer : 0x000000E70C58F760
METHOD_NEITHER
METHOD_NEITHER
방식은 Buffered I/O
와 Direct I/O
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
I/O Manager는 IRP
에 유저 모드의 가상 주소를 드라이버로 전달합니다.
유저 모드 버퍼의 가상 주소 유효성을 확인하고 작업 유형에 따라 ProbeForRead
및 ProbeForWrite
를 사용하여 READ, WRITE
권한을 확인해야 합니다. 드라이버에서 Buffered I/O
, Direct I/O
방식에 대한 지원만 가능한 경우 이에 대한 예외처리 또는 이에 맞는 방식으로 버퍼를 처리해야 합니다.
즉 Buffered I/O
방식만 지원하는 경우, METHOD_NEITHER
방식으로 호출되는 경우 I/O Manager가 수행하는 것과 같이 버퍼에 대한 작업을 직접 수행해줘야 합니다. Direct I/O
의 경우 MDL
을 할당하고 MmProbeAndLockPages
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고정하고 사용해야 합니다.
입력 버퍼의 경우 스택 로케이션 내 Parameters.DeviceIoControl.Type3InputBuffer
에 의해 제공됩니다. Type3
의 의미는 Buffered I/O
, Direct I/O
가 아닌 타입을 의미합니다.
출력 버퍼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RP
내 UserBuffer
에 의해 제공됩니다.
위의 설명을 기반으로 작성한 코드입니다.
...
case METHOD_NEITHER:
{
ULONG InBufferSize = 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InputBufferLength;
ULONG OutBufferSize = 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OutputBufferLength;
__debugbreak();
__try {
ProbeForRead(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Type3InputBuffer, sizeof(ULONG), 1);
ProbeForWrite(Irp->UserBuffer, sizeof(ULONG), 1);
}
__except(EXCEPTION_EXECUTE_HANDLER){
Log("Invalid User buffer\\n"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ACCESS_DENIED, 0);
return STATUS_ACCESS_DENIED;
}
ULONG* RecvBuffer = (ULONG*)IoStackLocation->Parameters.DeviceIoControl.Type3InputBuffer;
Log("Recv : 0x%X\\n", *RecvBuffer);
ULONG Buffer = 0xdeadbeef;
ULONG* SendBuffer = (ULONG*)Irp->UserBuffer;
RtlCopyMemory(SendBuffer, &Buffer, OutBufferSize);
IoCompleteRoutine(Irp, STATUS_SUCCESS, OutBufferSize);
return STATUS_SUCCESS;
}
...
ProbeForRead
를 통해 입력 버퍼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고, ProbeForWrite
를 이용하여 출력 버퍼의 유효성 검사를 진행했습니다.
[0x05] Conclusion
버퍼를 처리하는 3가지 전략과 이러한 전략을 구현한 4가지 방식을 확인했습니다. 간단하게 그림으로 표현해봤습니다.